학원

2023/08/18 파이썬(입력함수, 조건문, 반복문, 리스트, 정렬)

맹진호 2023. 8. 18. 17:29



입력함수

입력함수에는 input과 output이 있다.

 

 

input함수를 사용하면 이런식으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창이 나온다.
이곳에 입력하고 엔터를 하면 종료된다.

 

 

 

input은 변수에 저장해서 사용하는 용도도 가능하다.

 



두 수를 입력받아 합의 결과를 출력

 

 

a = input() , b = input() 이런식으로 하게된다면 문자열로 받기 때문에 1020 이런식으로 그냥 붙여서 출력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것이 정수 라는것을 알려줘야하기 때문에 int를 사용해서 덧셈을 진행함

 






조건문(if)

 

 

 

파이썬에서 조건문은 if 조건식:을 하고 엔터를 하면 입력할 수있게 띄어쓰기가 되는데 여기에 입력하게 되면 종속문장을 넣을 수 있다. 몇문장이던 넣을 수 있고 안하고싶다면 지우고 쓰면 가능함

 

 

 

if문을 주었을 때 만족한다면 출력을 하고 다음문장은 그대로 출력한다. 만약 거짓이라면 출력하지 않지만 종속문장이 아닌 부분은 그대로 출력한다.

 

 





조건문(else)

 

 

else에는 조건식이 들어오지 않는다 if가 아니면 출력하는 값이라 써줄 필요 없음

 

 

 

위에서 a는 10이라고 했기 때문에 if가 아닌 else가 출력된다.

 

 

 

if와 else뿐만 아니라 다른 조건이 더 필요하다면 elif를 사용할 수 있다.
elif는 여러개를 사용해도 좋다. 그렇지만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조건을 실행하기 때문에 맨 위에 조건이 진행이 된다면 나머지는 실행하지 않는다. 그러니 순서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음

 



[ 실습 ]

 

사용자가 입력한 값이 3의 배수인 경우 출력

 

 

 

절대값 구하는 프로그램

 

 

 

홀짝 구분 프로그램

 

 

 

두 수를 입력받아 큰 수를 출력

 

 

 

세 수를 입력받아 큰 수를 출력

 

 

 

두 수를 입력받아 큰 수가 짝수이면 출력

 

 

 

두 수를 입력받아 합이 짝수이고 3의 배수이면 출력


 

 




반복문(for)

무언가 여러번 반복하고싶다면 for문을 사용하면 된다.
for 변수 in range() range에는 start, end,step이 들어감 변수를 몇부터 몇까지 몇씩 이라는 뜻

 

 

 

이런식으로 작성하게 되면 i가 4번 나오게 되는데마지막에 있는 end는 end까지가 아니라 end이전까지이다. 1부터 5이전까지 1씩 i를 카운팅 하면서 반복수행한다 라는 뜻

 

 

 

1부터 20까지 2씩은 이렇게 반복이 된다.
start와 step은 생략이 가능하다. start는 생략할 경우 기본이 0으로 시작이고 step은 생략할 경우 1씩이 기본으로 반복된다. 

 



 

이런식으로도 가능함


 

 

이런식으로 작성하면 깔끔하게 표처럼도 만들 수 있음
오른쪽으로 1씩 증가하고 다음 줄은 아래줄로 가게끔 설정했다. 반복문 밖에 print를 써주지않으면 한줄로 쭉 이어지는 것으로 나올 것이다.


 

 

이런식으로 세로로 가게끔 하는 방법으로도 가능하다.

 

 

 

for문 for문이 또 들어가는 구문으로도 작성할 수 있다.
for문 안에 for문이 들어가는 것은 구구단으로 연습을 많이 한다.






반복문(while)

 

while도 결국엔 반복문이다.
이런식으로 작성된다.

 

 

 

while문을 이해하기 쉬운 편한 반복문이다.
i가 0부터 10보다 작을 때 까지 계쏙 1씩 증가하면서 반복된다. 그러면 마지막에 오는 i의 값은 10이다.
여기서 초시기을 정하지않는다면 정의되지 않는다고 실행되지않고 만약 증감식을 작성하지 않는다면 0으로 계속 무한으로 출력된다. 위쪽 멈추게 한다.


 

 

이런 무한루프를 반복수행하게 하는 상황도 있다.
반복수행이 굉장히 빨리 되기 때문에 import time와 time.sleep(1)으로 1초마다 카운팅 하는 경우도 있음



 




리스트(list)

무언가 묶어서 확인하거나 저장고 변경도 가능하다.


 

 

리스트에 저장되는 내용은 어떤종류의 문자가 들어와도 상관없다. 리스트 안에 실수나 문자열 또 다른 리스트가 들어와도 그대로 출력되는걸 확인할 수 있음


 

 

리스트에 각 요소에 접근하고싶다면
ls이름을 쓰고 []을 쓰고 첫번째 요소에 접근하고싶다면 0을 작성한다. 0부터 시작하는 이 숫자를 index라고 함


 

 

이런식으로 반복문을 이용해서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리스트는 요소들을 바꿔줄 수 있음


리스트와 비슷한 것에는 tuple이 있는데 이 tuple은 리스트와 다른것이 요소를 수정할 수 없다.
그리고 리스트는 []로 하지만 tuple은 ()로 사용함

 






정렬(sort)

만약 1, 5, 2, 4, 3이 있다고 하면 이 입력받은 데이터를 오름차순으로 정리해서 처리하고싶다

1, 5, 2, 4, 3을 1, 2, 3, 4, 5로 정렬하고싶다.

 

 

1, 5, 2, 4, 3 -> 1회전

 

 

 

1, 2, 5, 4, 3 -> 2회전 

이런식으로 3회전 4회전까지 진행된다.

 

 

 

1회전은 이렇게 진행한다.

 

 

 

2회전은 이렇게 진행한다.

 

 

 

3회전또한 이렇게 진행이된다.
이런식으로 보면 공통적으로 보이는 부분과 똑같이 보이는 부분이 있을 것 이것을 다시 반복으로 넣어준다.

 

 

 

공통으로 되는 부분을 변수로 저장하고 반복되는 부분에 반복문을 넣어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