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끄적끄적 (23)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3/02/24 Kickstart Kickstart 동일한 구성으로 여러 대의 시스템에 원격 설치 레드엣 계열에서는 Kicksstart라고 부르고 PXE라고도 하는듯 하다. 솔라리스에서는 점프 스타트 라고도 부른다. Kickstart 구성 네트워크 부팅시 부팅 관련 파일을 공유할 tftp 서버 부팅관련된 파일들을 다운받아갈 수 있게 tftp 서버를 구축해둬야한다. kickstart같은 용량이 크지않은 파일들을 tftp 서버로 공유를 하게 된다. UDP를 이용한 통신이기 때문에 용량이 큰것은 부담스럽기 때문에 용량이 작은 설정파일이나 부팅관련된 코드만 받아갈수있다. Kickstart 설정 파일과 이미지 파일을 공유할 NFS 서버 Kickstart 무인 원격 설치 실습 https://www.youtube.com/watch?v=fWMQgji3.. 2023/02/23 DHCP DHCP DHCP란? - 동적으로 IP를 할달 받도록 도와주는 것 - 같은 네트워크(LAN)에서 IP를 관리해주는 서버이다. - 사용자들이 필요할 때 마다 빌려주는 개념이다 공유기에도 이러한 설정이 있다 IP주소가 없는 클라이언트가 서버한테 요청을 할 때 DHCP Discover를 보낼 때는 이더넷 프로토콜에 맥주소를 브로드캐스트로 해서 보내게 된다. 그 중에 DHCP 서버로 동작하고 있는 서버가 있다면 DHCP Offer로 응답을 주게된다.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 DHCP 서버가 없다면 응답이 안오기 때문에 IP를 동접으로 할당받을 수 없다. 응답을 받은 클라이언트는 IP주소를 할당받기 위해 DHCP Request를 보내게 된다. 다시 요청받은 서버는 IP주소와 얼만큼 쓸 수 있는 시간정보를 DHCP A.. 2023/02/22 메모리 관리 메모리 관리 커널이 관리하는 메모리 - 프로세스를 언제, 어디서, 어떻게 적재할 것인지 커널이 관리 - 리눅스는 하나의 프로세스에 4GB의 가상 메모리 주소 공간을 할당 - 리눅스는 가상 메모리 공간에 있ㄴ느 페이지 중에서 현재 작업 수행에 필요한 부분만 물리 메모리에 올려 작업을 수행 - 물리 메모리의 공간이 부족해지면 다시 일정 페이지를 가상 메모리 공간으로 보내는 작업을 반복 가상 메모리와 물리 메모리의 페이징 메모리 관리 명령어 메모리 공간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free 프로세스 정보와 CPU 정보를 함께 top 윈도우의 작업 관리자라고 생각하면 될듯 SWAP 메모리의 여유 공간을 디스크에 확보하는 SWAP 파일 시스템 또는 파일로 구성하는 SWAP 메모리관리 SWAP구성 실습 https://ww.. 2023/02/21 NFS NFS 윈도우의 공유 폴더와 비슷한 NFS - 서버에서 공유한 디렉토리를 마치 로컬 시스템의 장치처럼 이용할 수 있게 개발된 파일 시스템 - 전통적인 유닉스 환경에서는 오랫동안 네트워크에서 자료를 공유하는 방법으로 사용 - NFS 서버가 디렉토리를 공유하면 NFS 클라이언트가 공유한 디렉토리를 마운트해서 사용 공유할 디렉토리 지정 파일 /etc/exports 다양한 공유 설정 옵션 rw - 파일 시스템을 읽고 쓰기가 가능하도록 공유 ro - 파일 시스템을 읽기 전용으로 공유 subtree_check - 시스템 보안 유지를 위해 하위 디렉터리를 검사하는 옵션 no_subtree_check - 시스템 성능을 고려하여 하위 디렉터리 검사를 하지 않는 옵션 root_squash - 시스템 보안을 위해 공유 디렉.. 2023/02/20 로그 리눅스의 로그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의 사용 기록 로그 운영 체제나 다른 소프트웨어가 실행 중에 발생하는 이벤트나 각기 다른 사용자의 통신 소프트웨어 간의 메시지를 기록한 파일 로그나 기록하는 행위는 로깅(logging)이라고 한다. syslog 실제 설정 파일의 내용 /etc/rsyslog.conf 컴퓨터의 환경 설정 파일 Facility 컴퓨터의 환경 설정 파일 Level 로그파일 실습 https://www.youtube.com/watch?v=UZMVPuOAzcY&list=PL0d8NnikouEXVn9FfoX2XVlGgEArLDiLZ&index=42 2023/02/17 소프트웨어 패키지 소프트웨어 패키지 관리 설치 파일을 이용한 관리 Redhat Package Manager rpm파일 rpm 명령어 소스 코드를 이용한 관리 컴퓨터의 환경 설정 파일 ./configure makefile의 내용대로 컴파일 하는 make 컴파일 된 파일을 설치하는 make install 인터넷 저장소를 이용한 관리 다양한 곳에서 운영중인 레포지터리 레포지터리에서 다운 및 설치 yum명령어 설치 - yum install 명령어 [패키지명] (* : 관련 패키지 모두 설치) 의존성이 있는 파일 모두 설치를 해준다. 삭제 - yum erase [패키지명] 업그레이드 -yum upgrade [패키지명] 소프트웨어 패키지 관리 실습 https://www.youtube.com/watch?v=WjVUOIHrvlg&lis.. 2023/02/16 네트워크 설정 네트워크 설정 Ifconfig 명령어 route 명령어 DHCP 서버를 이용한 설정 dhclient [장치명]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3 파일로 설정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3 파일 사용한 수동 설정 네트워크 설정 실습 https://www.youtube.com/watch?v=D95M02bNGS8&list=PL0d8NnikouEXVn9FfoX2XVlGgEArLDiLZ&index=36 2023/02/15 백업 및 복구 백업 및 복구 데이터 백업 - 언제 발생할 지 모르는 사고를 대비해 반드시 해야 할 것이 백업이다. - 기존의 폴더 또는 파일을 다른 안전한 장소에 보관하는 것 - Windows Server에서는 자체적으로 백업 기능을 제공 - 백업은 별도의 하드디스크나 다른 컴퓨터의 공유 폴더에 하는 것이 필수 - 최근에는 서버와 멀리 떨어진 원격지에도 백업(클라우드) - 복구는 삭제된 일부 폴더만 복구할 수도 있고, 볼륨 전체를 복구할 수도있다. 모든 데이터를 백업하는 전체백업 - 데이터 전체를 백업하는 것 - 시간이 오래 걸리고 백업할 때마다 중복된 데이터도 백업하기 때문에 디스크 공간이 많이 필요 - 가장 최근에 전체 백업을 복구하면 가장 최근의 데이터로 복구 됨 이전 백업에서 변경된데이터만 백업하는 증분 백업 ..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