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끄적끄적

(10)
2023/01/18 HTTP프토콜 HTTP프로토콜 웹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기술들이 있다 HTTP, HTML, Javascript, CSS, ASP/ASP.NET, JSP, PHP, DB 정도는 필수로 알아야한다. Python, Spring, Jquery, Ajax같은 추가적인것들도 있다. HTTP 프토콜의 특징 HyperText Transfer Protocol (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www에서 쓰이는 핵심 프로토콜로 문서의 전송을 위해 쓰이며, 오늘날 거의 모든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고 있다. -> 음성, 화상 등 여러 종류의 데이터를 MIME로 정의하여 전송 가능 HTTP 특징 Request / Response (요청/응답) 동작에 기반하여 서비스 제공 HTTP 1.0의 특징 " 연결 수립, 동작, 연결 해제"의..
2023/01/17 NAT,포트포워딩 NAT NAT란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은 IP패킷의 TCP/UDP 포트 숫자와 소스 및 목적지의 IP 주소 등을 재기록하면서 라우터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는 기술을 말한다. 패킷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IP나 TCP/UDP의 체크섬(checksum)도 다시 계산되어 재기록해야 한다. NAT를 이용하는 이유는 대개 사설 네트워크에 속한 여러 개의 호스트가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꼭 사설 IP를 공인IP로 변환 하는 데에만 사용하는 기술은 아니다. 포트포워딩이란? 포트 포워딩 또는 포트 매핑(port mapping)은 패킷이 라우터나 방화벽과 같은 네트워크 장비를 가로지르는 동안 특정 IP 주소와 포트 번호의 통..
2023/01/16 UDP,TCP 비연결지향형 UDP 프로토콜 UDP가 하는일 사용자 데이터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 UDP)은 유니버설 데이터 프로그램 프로토콜(Universal Datagram Protocol) 이라고 일컫기도 한다. UDP의 전송 방식은 너무 단순해서 서비스의 신뢰성이 낮고, 데이터그램 도착 순서가 바뀌거나, 중복되거나, 심지어는 통보 없이 누락시키기도 한다. UDP는 일반적을 오류의 검사와 수정이 필요없는 프로그램에서 수행할 것으로 가정한다. UD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프로그램 도메인을 물으면 IP를 알려주는 DNS 서버 UDP로 파일을 공유하는 TFTP서버 라우팅 정보를 공유하는 RIP 프로토콜 연결 지향형 TCP 프로토콜 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
2023/01/13 4계층 프로토콜 4계층에서 하는 일 전송계층(Transport Layer)은 송신자의 프로세스와 수신자의 프로세스를 연결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송 계층은 연결 지향 데이터 스트림 지원, 신뢰성, 흐름제어, 그리고 다중화와 같은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송 프로토콜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연결 지향 전송 방식을 사용하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 (TCP)이다. 보다 단순한 전송에 사용되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도 있다. 비연결 지향형 프로토콜이라고 불리는 UDP 프로토콜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인 TCP프로토콜이 있다. 포트 번호 포트 번호의 특징 특정 프로세스와 특정 프로세스가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한다. 하나의 포트는 하나의 프로세스만 사용 가능하다. 하나의 프로세스가 여러 개의 포트를 사용하는 것은..
2023/01/12 IPv4, ICMP, 라우팅테이블, 조각화 IPv4 프로토콜 IPv4가 하는일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 데이터가 정확하게 전달될 것을 보장하지 않는다. 중복된 패킷을 전달하거나 패킷의 순서를 잘못 전달할 가능성도 있다. (악의적으로 이용되면 Dos공격이 됨) 데이터의 정확하고 순차적인 전달은 그보다 상위 프로토콜인 TCP에서 보장한다. IPv4는 20바이트이고 IP Option이 붙을 때마다 4바이트씩 붙는다. 이론상 최대 10개의 옵션이 붙을수도있다. Version : 버전을 쓰는것인데 여기는 무조건 16진수인 4가온다. IPv6는 모양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6은 못온다. IHL(Header Length) : 헤더의 길이는 최소 20바이트라 여기에는 나누기 4가 들어와서 16진수인 5가 들어온다. Type of Servi..
2023/01/11 ARP 프로토콜 ARP프로토콜 ARP가 하는일 ARP프로토콜은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을 하기위해 필요한 MAC주소를 IP주소를 이용해서 알아오는 프로토콜이다.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을 한다고 해도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서는 7계층부터 캡슐화를 통해 데이터를 보내기 때문에 IP주소와 MAC주소가 모두 필요하다. 이 때 IP주소는 알고 MAC주소는 모르더라도 ARP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다. Hardware type : 이더넷만 오기 때문에 16진수로 0001이온다 Protocol type : IPv4만 오기때문에 16진수로 0800이온다 Hardware Address Length : MAC주소 6바이트기때문에 06 Protocol Address Length : IP주소 4바이트이므로 04 Opcode는 물어볼때는 ..
2023/01/10 OSI 7의 3계층 3계층의 기능 3계층에서 하는 일 3계층은 다른 네트워크 대역 즉, 멀리 떨어진 곳에서 존재하는 네트워크까지 어떻게 데이터를 전달할지 제어하는 일을 담당 쉽게 이야기하면 서로 다른 LAN대역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이 3계층이다. WAN에서 통신 할 때 사용하는 IP주소 IPv4주소 : 현재 PC에 할당된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 IP 주소에 대한 네트워크의 대역을 규정하는 것 게이트웨이 주소 : 외부와 통신할 때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출입구 3계층프로토콜에 알아둘것은 ARP프로토콜, IPv4프로토콜, ICMP프로토콜정도 일반적인 IP주소 IP주소는 4바이트고 10진수로 쓴다. IP주소는 초기에는 Classful IP주소를 썼다. 그런데 이 주소는 딱 맞게 써야하니 남는 IP주소가 많아져서 낭비가 심했다 그래..
2023/01/09 OSI 7의 2계층 2계층이 하는 역할 가까이에 있는 컴퓨터 즉, 로컬 에이리아 컴퓨터에서 통신을 어떻게 하는가를 정의한게 OSI 7계층의 2계층이다. 2계층의 기능 2계층은 내가 전달하는 데이터가 오류가 있는지 없는지 흐름을 제어하는 흐름제어 그리고 그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없는지 오류제어를 한다. 2계층은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 LAN에서만 통신할 때 사용한다. 그래서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할 때는 항상 3계층이 도와주어야 한다. 2계층이 사용하는 Media Access Address 즉 MAC주소라고한다(물리적인 주소,헤드웨어 장치) 이 MAC주소는 cmd에서 ipconfig /all 을 치면 알 수 있다. 이 주소는 물리적주소 16지수로 쓴다. MAC 주소 표기 방식 16진수 (10진수는 0~9로 모든 수를 표현,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