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계층 (3)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3/04/18 3계층, Subnetting [ Subneting ] # 218.128.32.0/24 대역대를 할당 받음 # 각 네트워크마다 30개의 Host-ID 주소가 필요하다. 218.128.32. 0000 0000 255.255.255. 0000 0000 ( ) or / 218.128.32. NNN0 0000 255.255.255.1110 0000 (224) or /27 위랑은 다르게 Host-ID이기 때문에 Host-ID에서 3자리가 Net-ID로 바뀌었으니까 2^3인 8가지의 경우가 나오게된다. " " 친 구간이 0~7까지의 경우의 수로 나오게된다. 218.128.32."000"0 0000 ~ "000"1 1111 [ 218.128.32.0 ~ 218.128.32.31 ] 218.128.32."001"0 0000 ~ "001"1 1111.. 2023/04/17 3계층 [ Network(Internet) Layer ] 자신과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목적인 계층 IP를 이용하여 통신을 진행한다 (IPv4, IPv6) Router 장비를 이용하여 Routing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진행한다. ●wan구간과 연관이 있다 WAN에서 중요하게 봐야하는게 3계층 정보이다 LAN과 LAN에서 WAN으로 연결할 때 3계층 장비인 라우터로 어떤 정보를 보내는지 가능하게 하게끔 하는게 목적 비트 프레임 패킷(앞에서 했던 데이터의 패킷과는 다른 말)● [ IPv4 Address ] 총 32개의 Bit로 구성이 되어 있으면 8Bit로 1개의 옥탯을 표현한다. IPv4의 경우 옥탯 4개로 구성이 되어있다. Bit의 연산은 2진수로 진행 ( "1" = 사용 , ".. 2023/01/10 OSI 7의 3계층 3계층의 기능 3계층에서 하는 일 3계층은 다른 네트워크 대역 즉, 멀리 떨어진 곳에서 존재하는 네트워크까지 어떻게 데이터를 전달할지 제어하는 일을 담당 쉽게 이야기하면 서로 다른 LAN대역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이 3계층이다. WAN에서 통신 할 때 사용하는 IP주소 IPv4주소 : 현재 PC에 할당된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 IP 주소에 대한 네트워크의 대역을 규정하는 것 게이트웨이 주소 : 외부와 통신할 때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출입구 3계층프로토콜에 알아둘것은 ARP프로토콜, IPv4프로토콜, ICMP프로토콜정도 일반적인 IP주소 IP주소는 4바이트고 10진수로 쓴다. IP주소는 초기에는 Classful IP주소를 썼다. 그런데 이 주소는 딱 맞게 써야하니 남는 IP주소가 많아져서 낭비가 심했다 그래..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