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pv4

(2)
2023/01/12 IPv4, ICMP, 라우팅테이블, 조각화 IPv4 프로토콜 IPv4가 하는일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 데이터가 정확하게 전달될 것을 보장하지 않는다. 중복된 패킷을 전달하거나 패킷의 순서를 잘못 전달할 가능성도 있다. (악의적으로 이용되면 Dos공격이 됨) 데이터의 정확하고 순차적인 전달은 그보다 상위 프로토콜인 TCP에서 보장한다. IPv4는 20바이트이고 IP Option이 붙을 때마다 4바이트씩 붙는다. 이론상 최대 10개의 옵션이 붙을수도있다. Version : 버전을 쓰는것인데 여기는 무조건 16진수인 4가온다. IPv6는 모양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6은 못온다. IHL(Header Length) : 헤더의 길이는 최소 20바이트라 여기에는 나누기 4가 들어와서 16진수인 5가 들어온다. Type of Servi..
2023/01/10 OSI 7의 3계층 3계층의 기능 3계층에서 하는 일 3계층은 다른 네트워크 대역 즉, 멀리 떨어진 곳에서 존재하는 네트워크까지 어떻게 데이터를 전달할지 제어하는 일을 담당 쉽게 이야기하면 서로 다른 LAN대역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이 3계층이다. WAN에서 통신 할 때 사용하는 IP주소 IPv4주소 : 현재 PC에 할당된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 IP 주소에 대한 네트워크의 대역을 규정하는 것 게이트웨이 주소 : 외부와 통신할 때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출입구 3계층프로토콜에 알아둘것은 ARP프로토콜, IPv4프로토콜, ICMP프로토콜정도 일반적인 IP주소 IP주소는 4바이트고 10진수로 쓴다. IP주소는 초기에는 Classful IP주소를 썼다. 그런데 이 주소는 딱 맞게 써야하니 남는 IP주소가 많아져서 낭비가 심했다 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