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계층이 하는 역할
가까이에 있는 컴퓨터 즉, 로컬 에이리아 컴퓨터에서 통신을 어떻게 하는가를 정의한게 OSI 7계층의 2계층이다.
2계층의 기능
2계층은 내가 전달하는 데이터가 오류가 있는지 없는지 흐름을 제어하는 흐름제어 그리고 그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없는지 오류제어를 한다.
2계층은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 LAN에서만 통신할 때 사용한다.
그래서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할 때는 항상 3계층이 도와주어야 한다.
2계층이 사용하는 Media Access Address 즉 MAC주소라고한다(물리적인 주소,헤드웨어 장치)
이 MAC주소는 cmd에서 ipconfig /all 을 치면 알 수 있다.
이 주소는 물리적주소 16지수로 쓴다.
MAC 주소 표기 방식
16진수 (10진수는 0~9로 모든 수를 표현, 16진수는 0~9, A,B,C,D,E,F로 모든 수를 표현한다)
AA:BB:CC:DD:EE:FF
AA-BB-CC-DD-EE-FF
MAC 주소 구성
AA:BB:CC : 앞의 3바이트는 OUI
DD:EE:FF : 뒤의 3바이트는 고유번호
앞에 16지수는 OUI : IEEE에서 부여하는 일종의 제조회사 식별 ID이다.
뒤에 16지수는 고유번호 : 제조사에서 부여한 고유번호이다.
2계층 프로토콜
Ethernet 프로토콜
Ethernet 목적지 주소 부분에 MAC주소가 온다.
목적지 MAC주소인 Destination Address에 6바이트,
출발지 MAC주소인 Soruce Address에 6바이트
Ethernet Type인 상위계층에는 2바이트가 온다. 이 상위계층에는 IPv4(0x0800), ARP(0x0806)이다.
이렇게 총 14바이트가 Ethernet 프로토콜부분이라고 한다.
Ethernet Type이 하는 역할은 미리 알려주는것이다.
페이로드 안에 IPv4프로토콜이 있거나 ARP가 있다는걸 미리 알려준다. 이유는 전기적 신호로 데이터가 전달되는데 받는 입장에서는 Ethernet 프로토콜을 분석한 다음 페이로드를 봐야하는데 내용을 알고있으면 분석을 하기 편하다.
정확하게 이야기한다면 Ethernet Type을 알려주지 않으면 페이로드를 알수가 없다, 단순히 01010로 시작하는 이진수이기 때문 이것은 Ethernet뿐만 아니라 다른 프로토콜에도 이런식으로 상위 프로토콜이 무너지 알려준다.
'네트워크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01/12 IPv4, ICMP, 라우팅테이블, 조각화 (0) | 2023.01.12 |
---|---|
2023/01/11 ARP 프로토콜 (0) | 2023.01.11 |
2023/01/10 OSI 7의 3계층 (0) | 2023.01.10 |
2023/01/06 네트워크 모델 (0) | 2023.01.06 |
2023/01/05 네트워크 기초 (0) | 2023.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