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계층의 기능
3계층에서 하는 일
3계층은 다른 네트워크 대역 즉, 멀리 떨어진 곳에서 존재하는 네트워크까지 어떻게 데이터를 전달할지 제어하는 일을 담당 쉽게 이야기하면 서로 다른 LAN대역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이 3계층이다.
WAN에서 통신 할 때 사용하는 IP주소
IPv4주소 : 현재 PC에 할당된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 IP 주소에 대한 네트워크의 대역을 규정하는 것
게이트웨이 주소 : 외부와 통신할 때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출입구
3계층프로토콜에 알아둘것은 ARP프로토콜, IPv4프로토콜, ICMP프로토콜정도
일반적인 IP주소
IP주소는 4바이트고 10진수로 쓴다.
IP주소는 초기에는 Classful IP주소를 썼다.
그런데 이 주소는 딱 맞게 써야하니 남는 IP주소가 많아져서 낭비가 심했다 그래서 나온것이 Classless IP주소이다.
그래도 결국 사용하는 전자기기가 많아짐에 따라 낭비가 시작되니 IP주소가 부족해졌다.
그래서 나온것이 사설 IP와 공인 IP이다.
이 사설IP와 공인IP는 현재 IPv4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Calssless IP주소와 사설IP, 공인IP가 같이 쓰인다.
공인 IP : 인터넷 세상 실제 네트워크 통신망이라 통신할 때 사용하는 IP주소
사설 IP : 이런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사용하는 IP주소
사설IP를 사용하는 장비들이 통신을 할 때 무조건 공인 IP로 바뀌어서 인터넷을 한다.
그래서 외부에서 볼땐 동생컴퓨터나 내 컴퓨터는 같은 컴퓨터로 보인다. 같은 공유기로 묶여있기 때문에
이 네트워크 주소를 사설IP에서 공인IP로 바꿔주는걸 NAT라고 한다.
특정 IP를 다른 특정 IP로 바꾸는 기술이 NAT이라고 한다.
실제 인터넷 세상에서는 공인 IP로만 통신을 하기때문에 외부 네트워크 대역에서는 사설 IP대역이 보이지 않는다.
사설 IP는 외부에서 봤을 때 안보이기 때문에 나갔다가 들어오는것만 가능하지 밖에서부터 바로 안쪽으로 들어오는건 일반적으로 불가능하다. 추가적인 설정 포트포어딩? 이라는 설정을 하면 내부로 들어올 수 있다.
특수한 IP주소
Wildcard - 0.0.0.0 : 쉽게 생각하면 나머지 모든 IP라고 한다. 보통 컴퓨터에선 안쓰인다.
나 자신을 나타내는 주소 - 127.0.0.N ( N은 1도 2도 3도 가능하다)
위부로 나가는 곳을 알려주는 주소 - 게이트웨이 주소
기본적으로 인터넷을 하려고 하면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가 있어야 인터넷이 가능해진다.
'네트워크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01/12 IPv4, ICMP, 라우팅테이블, 조각화 (0) | 2023.01.12 |
---|---|
2023/01/11 ARP 프로토콜 (0) | 2023.01.11 |
2023/01/09 OSI 7의 2계층 (0) | 2023.01.09 |
2023/01/06 네트워크 모델 (0) | 2023.01.06 |
2023/01/05 네트워크 기초 (0) | 2023.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