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페이스
내부 인터페이스인지 외부 연결 인터페이스인지 구분해야한다.
내부 : FastEthernet0/0
외부 : Seria 0/0
구분을 확인 하기 위해 이런식으로 연결했다.
라우터 끼리 연결되어 있는 Serial은 Clock시그널을 보내는게 DCE라고하고 받는쪽이 DTE라고 한다.
명령어를 내가 어디서 보내냐에 따라서 차이점이 있다
clock을 보내는 쪽에서 명령어를 설정해야한다.
내부연결 인터페이스
PC-0번은 IP주소를 1.1.1.2로 설정하고 GW는 1.1.1.1로 설정
라우터 0번과 1번은 이런식으로 설정
인터페이스 설정을 하기 위해서 그 구간으로 들어가야함
0/0번으로 들어온 것 인터페이스는 2가지 설정을 해야하는데 그중 하나가 speed이다
그런데 스위치는 auto모드로 스위치의 속도를 알아서 맞춰준다.
스위치 대신 허브를 할 땐 수동으로 따로 해야한다
나머지 한가지는 duplex가 있다. 이것도 auto로 맞춘다 마찬가지로 허브는 수동으로 세팅
FastEthernet IP주소를 저렇게 하겠다고 설정하는 것 ( 서브넷 마스크 주소는 꼭 적어야함 )
스위치는 모든 인터페이스가 기본적으로 활성화 되어있다.
라우터는 기본적으로 비활성화 되어있기 때문에 켜줘야한다.
shutdown이라는것이 비활성화니까 앞에 no를 붙인다.
실제 장비에선 저렇게 불 들어오는것을 모르기 때문에 end로 나와서
show ip interface brief를 치면 인터페이스를 쭉 확인 할 수 있다.
Status부분은 물리적 부분 Protocol부분은 논리적 부분이다.
이곳에 up인지 down인지를 보고 어디서 잘못되었는지도 대충 확인 가능하다.
보통 물리적 부분이 문제가 있으면 논리적 부분이 같이 down이 뜰 것.
논리적인 부분은 기술적인 부분으로 세팅과 관련있다. 이곳이 down이 뜬다면
speed라던가 duplax부분이 문제가 발생한 것
외부연결 인터페이스
[ HDLC ]
- Router 장비의 Encapsulation은 HDLC 방식이 기본값으로 설정되며, HDLC는 일반적인 표준 방식이다.
- 단, Cisco 장비내에서의 HDLC의 경우 표준 HDLC 방식이 아닌 Cisco만의 HDLC 방식을 사용
- Cisco 장비와 다른 회사의장비를 연결 할 경우 HDLC Encapsulation을 사용하면 통신이 불가능하다.
[ PPP ]
- HDLC가 표준이긴 하나, 현재 WAN 구간에서는 HDLC보다 PPP연결을 주로 사용
- 장비가 호환성이 좋으며, HDCL보다 다양한 Protocol의 Encapsulation을 진행(NCP), 보안성(LCP) 또한 좋다.
우선 ppp를 사용해서 연결을 한다
clock rate는 DCE에서만 설정하면 된다.
이것은 bandwidth 뒤에오는 숫자에 000을 붙여서 그 값에 가장 근접한 근사값을 찾으면
2000000으로 설정
그리고 라우터 0번은 ip를 2.2.2.1로 설정하고 라우터1번은 2.2.2.2로 설정한다.
라우터 1번은 DTE기 때문에 clock rate를 설정할 필요없다.
이렇게 연결 하고 나면 라우터 두 장비가 연결이 된것을 확인할 수 있고
ip int br를 친다면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확인이 가능하다.
Router Packet Forwarding
PC-0번에서 Router-1번으로 ping을 쏠 때 라우터는 1.1.1.0은 Fa 0/0으로 보내고
2.2.2.0은 Se 0/0으로 보낸다고 테이블에 저장되어있다.
하지만 2.2.2.0은 SE 0/0으로 보내고 1.1.1.0이 보낼 곳은 테이블에 저장이 안되어있기 때문에
보낼 수 없는것이다. 라우터에게 보낼 수 있게 목적지를 알려주는것이 라우팅이다.
이런식으로 라우팅을 하게되면 이젠 PC-0번에서 ping이 원활하게 가능하다.
[ Routing 개요 ]
- Route : 경로
- Router : 경로들 중 최적의 경로를 골라 패킷을 전달해주는 장비
- Routing : 패킷을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일련의 절차
[ Routing 방식 ]
- Static : 관리자에 의한 수동적인 경로 입력, 고정적인경로, 동적인 대응불가
Dynamic : Roting Protocol에 의한 경로 입력, 변동적인경로, 동적인 대응가능
"Static : 직접 관리"
- 장점 : 네트워크 경로관리에 있어 효율적이다
- 단점 : 변화에 동적인 대응이 불가능하다 (즉시변화x) 수렴시간이 길다
"Dynamic : 라우팅 프로토콜 종류"
- 장점 : 변화된 Network에 대처가 빠르다
- 단점 : 리소스 소모량이 많다.
Static Route 설정하기
이러한 연결이 되어 있을 때
PC-0번이 PC-2번으로 통신이 하고싶으면 Router-0번은 10.10.2.0으로 가야하는데
어디로 내보내야하는지 모르기 때문에 Router-0번에 serial 0/0으로 내보내라고 학습을 시킨다
Router-1번까지 온 정보가 다시 어디로 보내야할지 모르기 때문에
Router-1은 serial 0/1로 내보내라고 학습을 시킨다.
그렇게 된다면 PC-0번에서 보내는 정보는 PC-2번까지 도달하게 된다.
하지만 그렇게 되면 PC-2번에서 다시 PC-0번으로 보내게되는 정보가 부족해서
보낼 수 없게된다.
그러면 위에서 했던 것처럼
Router-2번에 17.16.1.0으로 보내고싶으면 Serial 0/0으로 보내면 된다고 학습을 시킨다.
그러면 Router-1번은 10.10.2.0으로 가는 법은 알지만 172.16.1.0을 가는법은 모르기 때문에
그쪽으로 가려면 Serial 0/0으로 보내면 된다고 학습시킨다.
그렇게 되면 PC-0번에서 PC-2번으로 ping을 보낼 때 원할하게 통신이 가능해진다.
그러면 Router-1번은 총 4개의 네트워크를 알게되는것이고 R-0과 R-2번은 3개씩 학습이
된 상태이다. 이렇게 라우팅 테이블을 하나라도 줄일 수 있는것이
Static Route의 장점이라고 할 수있다.
다른 방법으로 Router-0번을 0.0.0.0 0.0.0.0 se 0/0으로 설정하게 된다면
받은 데이터는 그냥 0/0으로 내보내게된다. 이렇게 설정을 하더라도
PC-0번이 PC-2번과 통신을 하는것에서 문제는 없다.
'학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04/26 EIFRP, OSPF (0) | 2023.04.26 |
---|---|
2023/04/25 라우팅 (0) | 2023.04.25 |
2023/04/21 장비설정 (0) | 2023.04.21 |
2023/04/20 과제제출 (0) | 2023.04.20 |
2023/04/19 4계층 (0) | 2023.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