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ynamic Routing
Autonomous System은일반적인 관리영역하에 있는 네트워크들의 집합
IGP : RIP, IGRP, EIFRP, OSPF, Intergrated IS-IS
EGP : BGP
[ IGP Routing Protocol ] : 기업내의 Network를 연결 하는 경우 사용
# Distance Vector : Distance를 확인 ( Distance = Router의 수 ) ( " RIP == Network 수 " )
- 최적경로 연산에 Distance를 사용. ( 최소한의 거리 값을 연산하여 최적 경로를 선택 )
- 최적의 라우팅 리스트를 만든 후, 주기적으로 라우팅 테이블에 인접관계에 있는 라우터에게 전달
- 연산의 최종 결과만 전송 한다. ( 경로가 명시적, 장비의 리소스 소모가 적음 )
- 경로 복잡도가 낮은 곳에서 주로 사용 -> 작은규모나 심플한 규모에서 사용한다.
- Step-by-Step으로 Routing table Update를 진행하기 때문에 속도가 매우 느리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 EX : 네이버 지도에서 최단거리 옵션 선택 후 경로 검색 ]
RIP세팅
세팅은 이런식으로 되어있다.
router rip, no auto-su, ver 2 까지는 고정적으로 치는부분이다.
그리고 연결되어있는 부분인 172.16.1.0과 172.16.2.0을 두번 쳐도 되지만
그냥 묶어서 172.16.0.0으로 쳐도 상관이 없다.
라우터1번은 광고를 묶어서 할 수 없기 때문에 따로 두번을 친다.
172.16.2.0처럼 그대로 쳐도 되지만 10.10.1.0을 10.0.0.0처럼 쳐도 상관이 없다.
라우터 2번은 10.10.1.0과 10.10.2.0이기때문에 10.0.0.0으로 묶어서 가능하다.
라우터 0번에서 show ip protocols을 치게 되면 설정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라우터 0번에서 show ip route를 치면 R은 rip을 뜻하고 120숫자는 AD를 뜻한다.
AD옆에 숫자는 그 라우터에게 얼마나 떨어져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라우터 1번과 2번도 show ip route를 치면 마찬가지로 확인이 가능하다.
라우터 0번으로 와서 debug ip rip을 하면 연결된 정보들을 출력한다.
계속 출력하기 때문에 sending을 보고 un all을 쳐서 멈춰준다.
실 장비에선 쓰이진 않는다. 장비가 멈출 수 있기 때문.
확인 했을 때 라우터 0번에서 내부네트워크로 필요없는 정보를 계속 보내고 있기 때문에
내부로 보내는 데이터를 제거 하기위한 명령어를 한다.
마찬가지로 라우터2번에도 내부네트워크가 있기 때문에 같이 설정을 해준다.
다시 debug rip로 확인해보면 안뜨는걸 알 수 있다.
# Link State : Metric을 확인 ( Metric = 변수 ) ( "OSPF == bandwidth" )
- 최적경로 연산에 Metric를 사용. ( 각종 변수를 확인 후 Metric 값을 연산하여 최적 경로를 선택 )
- 경로의 상태 정보를 전송 한다. ( 전체적인 Network 상태를 파악 )
- 연산 부하가 높으며, 복잡한 곳에서 주로 사용
- 장점 : Topology의 변화에 빠른 반응을 수행한다.
- 단점 : Router의 내부 Resourc 소모가 많다.
[ EX : 네이버 지도에서 실시간 교통정보 상황 체크 옵션 선택후 경로 검색 ( 고속도로가 막힐 경우 국도로 우회 ) ]
OSPF 더 자세한 정보는2023/04/26 EIFRP, OSPF (tistory.com)
# Advance Distance Verctor : Hyvrid 형식 ( Distance 값 + Link 상태 ) ( "EIGRP == Seed Metric" )
- 최적경로 연산에 Distance 값과 Link 상태값을 동시에 사용하여 최적 경로를 선택
- Distance Vector 방식의 장점을 가져오고, 단점을 제거한 방식
- Cisco 전용 Routing Protocol " EIGRP"가 대표적인 Advance Distance Vector 방식의 Routing Protocol이다.
EIGRP
- 하이브리드 형식이다
- 정보 교환 시 멀티캐스트 주소 224.0.0.10을 사용한다.
- 주소학습은 Distance vector, 변경은 Link state
- Auto summary 기능은 기본값으로 켜지기 때문에 off해야함
- 연결된 장비끼리 Neighbor 관계 형성 이웃관계가 있는 장비기리만 정보를 주고 받는다.
EIGRP더 자세한 정보는 2023/04/26 EIFRP, OSPF (tistory.com)
EIGRP PACKETS
hello packets
- 직접 연결된 인접 라우터를 탐색하는데 사용한다.
- 정상적인 상태인지 체크한다
update packets
- new neighbor 발견시 topology table을 Unicast로 전송함
- topology Change 발견시는 multicast
Query
-기존 경로가 단절 되었을 때, 대체 경로가 없다면 라우터에 Query를 보내서 대체 경로를 찾는다
Reply
- Reply는 Query의 대한 응답이다.
- 모르더라도 일단 보내야한다.
- 3분안에 답이 없다면 끊는다.
ACK
- Update Query reply를 받은 장비는 확인으로 ACK를 보낸다.
[ Neighbor Table : 인접한 neighbor Router의 정보를 저장 ]
※ EIGRP의 Neighvor를 맺기 위한 조건 ( 시험에 자주 출제 )
1. AS번호가 같아야 한다. ( 작업 영역 번호를 말한다. )
2. Router-ID가 달라야 한다. ( 각각의 Router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 되는 ID 값을 의미 )
※ Router-ID를 지정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자신의 Interface의 IP중 가장 큰 값을 갖는
IP주소가 자동으로 Router-ID로 등록 ( Loopback 주소가 1순위 )
3. 인접한 장비와 동일 Network 대역을 사용. ( 만약 Network가 다를 경우 "not common subnet" Error 출력 )
4. 인접한 장비와 K-value가 같아야 한다. ( 만약 K-Value 값이 다를 경우 log에 "K- value mismatch" 출력 )
※ K-Value : ETGRP에서 Metric을 구하는데 사용되는 5가지 목록을 말 한다. ( 대역폭, 지연 값이 주로 사용 된다. )
[ K-Value ]
# config t
# router eigrp 100
# metric weight 1 0 1 0 0
>>>>디역폭, 로드, 지연, 신뢰도, mtu
[ EGP Routing Protocol ] : EGP의 경우 AS와 AS를 연결하는 경우 사용 ( "대한민국 AS 와 미국 AS 연결" )
# BGPv4
- AS는 각 조직을 나타내는 식별번호,식별번호가 다른 Network를 연결 하는 경우 BGP를 이용하여 연결
- CCIE 과정에서 주로 다루는 대규모 Network를 연결하는 과정이 EGP에 속한다.
AD값 - 경로선택의 기준 (AD값이 낮을 수록 신뢰도가 높음)
<>정도만 알고있어도 좋음
< Connected(Staic interface설정) "0" > | < Static Routing "1" > |
< EIGRP (Summary) "5" > | eBGP "20" |
< EIGRP "90" > | IGRP "100" |
< OSPF "110" > | ISIS "115" |
< RIP "120" > | External EIGRP "170" |
IBGP "200" | Unknow "255" |
Route Summarization는 축약 기능으로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메뉴얼서머리과 오토서머리이 있다.
오토서머리 : Router 에서 자동적으로 축약하는 기능
메뉴얼서머리 :메뉴얼 관리자 콘솔 들어가서 관리자가 수동으로 축약하는 기능
'학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04/27 ACL (0) | 2023.04.27 |
---|---|
2023/04/26 EIFRP, OSPF (0) | 2023.04.26 |
2023/04/24 라우터 설정 (0) | 2023.04.24 |
2023/04/21 장비설정 (0) | 2023.04.21 |
2023/04/20 과제제출 (0) | 2023.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