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원

2023/05/31 리눅스 기본 명령어

리눅스 기본 명령어
pwd, cd, ls, mkdir, touch, cp, mv, rm

 

pwd : 현재 경로 보기
pwd 명령은 현재 작업중인 디렉터리의 절대 경로를 보여준다.

 

 

cd : 원하는 디렉터리로 이동한다.
Syntax : cd [ 인자값 ]

 

 

리눅스에서는 띄어쓰기로 구분을 해야하기 때문에 인자값이나 옵션을 구분할 때는 띄어쓰기를 해야함
(인자값을 쓸 때는 붙여서 써야함)


$뒤에 붙는 것은 변수로 설정하게 되는것이다. 변수로 설정을 하면 cd로도 이동이 가능하다.


~로 치게되면 어디에 있던 내가 로그인 된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로 이동이 된다.


ls : 디렉터리의 목록 보기
Syntax : ls [option] [directory / file]

 

 

옵션을 붙일 때는 " - "를 앞에 반드시 붙여줘야한다. 풀네임으로 적으려면 " -- "로 두번 붙여야함

 

 

옵션을 뭘 붙여야할지 모르는 상황에서는 --help를 써서 확인이 가능하다.
man ls를 쓴다면 ls의 메뉴얼을 확인 가능하다. 방향키를 써서 확인이 가능하고 q를 눌러 빠져나온다.

 

 

-a 옵션은 .을 포함해서 경로에 모든 파일과 디렉터리를 표시한다.
파일이나 디렉터리 이름앞에 .이 붙어있다면 숨김표시를 한다는 것이다.

 

 

-l 옵션은 지정한 디렉터리의 내용을 자세하게 출력해준다. -l옵션은 많이 쓰이기 때문에 ll /etc 이런식으로도 쓰일 수 있다.

 

 

인자값은 여러개를 지정해서 한번에 보는 방법도 있다.

 

 

-l옵션과-a옵션은 같이 쓸 수 있다.

 

 

-d옵션은 지정한녀석에 정보를 확인하고싶을 때 쓴다. 보통은 단독으로 안쓰이고 대부분 -l옵션과 같이 쓰인다.

 

 

-F옵션은 파일 형식을 알리는 것이다 어차피 -l옵션으로 알 수 있기 때문에 잘 안쓰인다.

 

 

-R옵션은 그 하위 경로와 그 안에 있는 모든 파일들도 같이 나열해준다. 사실 -R옵션보단 tree옵션을 쓰인다.

 

 

기본 설치만해서 따로 설치가 안되어있기 때문에 yum -y install tree-*로 설치를 해준다.

* 리눅스 운영체제는 대소문자를 완벽하게 구분한다. 옵션이든 명령어든 인자값이든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 리눅스는 확장자 개념이 없다. 윈도우에서 확장자 역할은 파일을 어떤 프로그램이랑 연결되는지 알려주는 것.



alias 명령어는 복잡한 명령어와 옵션을 간단히 입력할 수 있는 문자열로 치환한다.
이건 기본적으로 지정되어있는 명령어들이고 위에서 배운 ll명령어도 있는 모습이다.

 

 

1이라는 명령어를 clear로 치환했기 때문에 1을 친다면 clear명령어가 먹게된다.
해제할땐 unalias 1하면 없앨 수 있다.


 

mkdir는 새로운 디렉터리를 만들어주는 것이다. 어디에 어떤이름을 가진 디렉터리를 생성한다.

 

 

mkdir을 할때는 -p옵션을 기억해주면 좋을 것
backup디렉터리 안에 A안에 B라는 디렉터리를 만든다고 했지만 만들어지지 않는다. 

A라는 디렉터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앞에 -p옵션을 붙여주게 되면 안에 만들어진것을 확인할 수 있다. 


 

touch 명령어는 빈파일을 만드는 명령어이다. 빈파일을 만들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잘 쓰이진 않음


-cp명령어는 파일 / 디렉터리 복사이다. 
syntax : cp [-option] [sources] [target]

-cp명령어의 옵션

 

 

etc안에 inittab이라는 디렉터리를 아무것도 없었던 backup안에 initttab_copy1라고 이름을 바꿔서 넣어주었다.
copy1은 -a옵션을 안쓰고 했지만 copy2는 -a옵션을 써서 복사를 했다.
-a 옵션을 쓴 copy2번은 만들어진 날짜 정보까지 복사를 했다.

절대경로로 이동해서 cp명령어를 쓴다고 해도 잘 되는걸 확인할수있다.
디렉터리를 복사할 때 -r옵션을 꼭 기억해야한다. 하위 디렉토리들이 있다면 복사가 안되기 때문


-mv명령어는 파일을 이동하거나 이름을 바꿀 때 사용한다.
syntax : mv [-option] [sources] [target]

-mv명령어의 옵션 mv명령어의 옵션은 거의 안씀


rm명령어는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삭제할 때 쓰인다.

 

 

rm명령어의 옵션
삭제시 정말 삭제할껀지 물어보는데 만약 하위디렉터리가 있다면 하나하나 물어보기 때문에(디렉토리가 100개 있다면 100번을 물어봄) -r옵션과 -f옵션을 쓰인다. 정말 실수안할 자신이 있을 때 쓰는게 좋을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