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의 설치 파일 = 패키지
패키지 관리를 윈도우즈로 따지면 프로그램 설치 삭제이다.
RPM은 초창기 리눅스에는 없었던 패키지 개념을 도입하여 설치와 삭제, 업그레이드 등을 편리 하도록 만들어, 리눅스 성장 시키는데 큰 도움을 제공한다.
패키지 설치의 방식에는 두가지가 있다 수동설치와 자동설치로 나누어지는데 이것도 서버나 상황에 따라 설치 방법이 달라진다
수동설치는 리눅스에 설치파일이 따로따로 나누어져있어서 하나하나 설치 해줘야 함
자동설치는 패키지관리 소프트웨어로 한묶음을 알아서 설치해주는 것
리눅스에는 centos에 vim이 자동으로 깔려있는데 이거를 수동으로 삭제를 해준것이다
그리고 rpm -qa | grep vim을 쳐도 아무것도 안뜨는걸로 삭제된걸 확인한 것
실제로 vi을 쳐도 그런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없다고 뜬다.
수동 설치하기에 앞서 backup에다가 yum -y install wget-*을 쳐서 자동으로 설치를 해준다.
아래에 Complete가 뜬다면 완료된것이다.
centOS 사이트에서 vim으로 된 4가지를 다운 받는다.
우클릭해서 링크복사를 하고 wget 하고 주소를 적으면 그대로 다운로드가 진행된다.
get이라는 명령어가 주세요라는 뜻인데 거기에 주소를 입력하게 되면 주소를 주세요 라는 뜻이기 때문에 그대로 다운로드가 되는것이다.
Xll은 다운받지 않는다.
/backup으로 이동해서 ls -l을 쳐서 4개가 다운로드가 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다운받다가 인터넷 연결이 잠깐 끊기거나 덮어쓰게 된다면 rm -rf로 지우고 mv으로 이름을 바꿔주던가
아니면 중복되는 두개를 삭제한 후 다시 다운 받아준다.
rpm -ivh 로 4개를 다운받아주고 rpm -qa | grep vim을 쳐서 다운이 잘 되었는지 확인한다.
rpm-ivh로 다운 받을 땐 그대로 다운받아지는 경우가 없을 때도 있는데 다른 프로그램을 먼저 설치를 해야 깔리는 경우이다. 설치가 안된다면 구글링을 통해서 url을 받아서 따로 설치하거나 하면 된다.
1. yum 명령어 사용법 정리
> 기본적인 설치 삭제 업데이트 작업
> history 기능을 이요한 롤백 및 작업 관리
> 패키지 저장소 추가 및 지정하는 방법
yum 명령어 사용법
yum list를 치면 yum이 활성화된 list를 확인할 수 있다.
기본적인 설치방법 : yum install [패키지 이름]
rpm 파일 설치 방법 yum localinstall rpm 파일이름.rpm ( rpm 파일이 있다면 rpm -Uvh 대신 yum localinstall을 실행해 패키지를 설치할 수 있다.
업데이트 가능한 목록 보는법 : yum check-update
업데이트 : yum update [패키지 이름]
삭제 : yum remove [패키지 이름]
history 기능을 이용한 롤백 및 작업 관리
(사실 실수만 하지않으면 쓸일은 없을 것)
yum history list명령이면 최근 트랜잭션 목록을 볼 수 있다.
yum history info [n]이면 n번의 트랜잭션의 상세 내용을 볼 수 있다.
yum history undo [n]을 하면 명령어로 특정 트랜잭션을 되돌릴 수 있으며 되돌리기 작업은 수행한 트랜잭션을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므로 작업한 내용과 반대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즉 트랜잭션이 패키지 설치라면 해당 트랜잭션에서 설치된 패키지는 삭제되고 트랜잭션이 패키지 삭제라면 삭제한 패키지는 설치된다.
yum history redo [n]는 특정 트랜재션을 되살릴 수 있다.
위에 undo로 트랜잭션이 설치되거나 되돌리기로 삭제가 되었다. [n]번 트랜잭션에서 설치한 패키지를 재설치하려면 yum history redo [n]명령어로 트랜잭션을 되살릴 수 있다.
저장소 추가 및 지정하는 법
yum repolist로 현재 활성화 된 yum repository목록 확인 가능
repolist 종류
[base] - yum 서버의 기본 패키지 경로 설정
[updates] - 업데이트된 패키지를 위한 경로 설정
[extras] - 사용중인 패키지와 관련된 추가 패키지 경로
[centosplus] - 존재하는 패키지들의 ㅣ능적으로 확장된 추가 패키지 경로
[contrib] - User에 의해 제작된 패키지 경로 설정
cd /etc/yum.reps.d/로 이동해서 추가할 패키지 저장소를 만든다
vi /etc/yum.repos.d/test.repo로 들어가서 아래 내용을 복사해서 붙여넣는다. 이름은 원하는 이름으로 바꿔준다.
[kakao-base]
name=kakao - Base
baseurl= http://mirror.kakao.com/centos/$releasever/os/$basearch/
gpgcheck=1
enabled=1
gpgkey=file:///etc/pki/rpm-gpg/RPM-GPG-KEY-CentOS-7
[kakao-updates]
name=kakao - Updates
baseurl= http://mirror.kakao.com/centos/$releasever/updates/$basearch
gpgcheck=1
enabled=1
gpgkey=file:///etc/pki/rpm-gpg/RPM-GPG-KEY-CentOS-7
[kakao-extras]
name=kakao - Extras
baseurl= http://mirror.kakao.com/centos/$releasever/extras/$basearch
gpgcheck=0
gpgkey=file:///etc/pki/rpm-gpg/RPM-GPG-KEY-CentOS-7
[kakao-centosplus]
name=kakao - Plus
baseurl= http://mirror.kakao.com/centos/$releasever/centosplus/$basearch
gpgcheck=1
enabled=0
gpgkey=file:///etc/pki/rpm-gpg/RPM-GPG-KEY-CentOS-7
중간중간에 gpgcheck와gpgkey사이에 enabled을 1로 활성화를 해주고 저장을 해주면 저장소를 추가할 수 있다.
yum repolist로 확인을 해보면 저장소가 추가된걸 확인할 수 있다.
name=저장소 표시 이름
baseurl=저장소 주소
enabled=활성화 여부 (0 or 1)
gpgcheck=gpg 서명키 사용 여부 (0 or 1)
gpgkey=서명키 사용 시 서명키 주소
2. 패키지 수동 설치 실습
mariadb로 시작하는 패키지 설치
maridb 패키지를 설치할 수 있으면 대부분의 패키지들은 설치할 수 있을것이다.
'학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06/12 프로세스 관리 명령어 (0) | 2023.06.12 |
---|---|
2023/06/09 리눅스 압축파일, kernel (0) | 2023.06.09 |
2023/06/07 소유권과 허가권 (0) | 2023.06.08 |
2023/06/02 사용자 계정, 그룹 관리 (0) | 2023.06.02 |
2023/06/01 리눅스 명령어, 문서 편집기 (0) | 2023.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