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r, Gzip, Bzip
압축이란건 여러개의 파일을 단일 파일로 만드는것이다.
용량감소는세부적인 부분일 뿐 묶어주는 개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tar, gzip, bzip은 각자 역할이 다르다.
Gzip, Bzip2는 용량을 줄이는 부가적인 기능만 있는 명령어다.
tar는 묶어주는 용도로 사용이 된다.(여러개의 파일을 단일 파일로 하는 것을 아카이브 파일이라고 표현한다.)
tar는 아카이브 파일을 만들고 지정된 대상을 집어넣는다.
cp /etc/inittab을 복사해서 용량을 확인해보았을 때 511이었는데 gzip으로 압축을 하고 확인해보면 316으로 줄어있는걸 확인할 수 있다. gzip -d ./inittab.gz으로 압축을 풀어주면 다시 돌아오게된다. 뒤에 .gz까지 이름이 바뀐걸 확인하고 적어줘야함
bzip은 깔아줘야하기 때문에 yum -y install bzip*으로 설치를 해준다.
bzip 명령어도 사용하면 용량을 줄여주고 이름이 자동으로 바뀌는걸 확인할 수 있다.
c옵션은 말그대로 아카이브에 넣어준다는 느낌
x옵션은 아카이브에서 꺼낸다는 느낌이다.
t옵션은 단일파일 형태로 여러개의 파일을 담고있으니 그 리스트를 보게 해준다.
f옵션은 무조건 같이 쓴다고 생각하면 되는데, 실제 아카이브 파일명을 지정해주는 것
v옵션은 파일이 묶이거나 풀리는 작업과정을 표시해줌 (만들거나 해제하면 씀)
z는 tar작업을 진행하면서 gzip도 같이 진행한다.
j는 tar작업을 진행하면서 bzip2도 같이 진행한다.
tar뒤에는 -(대쉬)가 안쓰여져도 옵션으로 인식해서 안써줘도 된다.
아카이브 파일 명을 지정하는것이다 f옵션이 없으면 지정이 안되기 때문에 항상 같이 써야함
bin이라는 경로에 들어와서 tar명령어로 backup에 binlist.tar.gz이름으로 뒤에오는 /*는 현재경로의 모든것들로 압축을 해주는 것
내가 지정한 binlist.tar.gz라는 이름으로 압축이 되었다. gz을 붙인 이유는 풀 때 tar뿐만아니라 gzip으로도 같이 묶인걸 표현하기 위한 센스느낌이다.
압축을 풀면서 대문자C옵션으로 내가 압축을 풀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지정하지 않으면 거기서 풀리기 때문에 복잡해진다.
Kernel
사람들은 Linux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운영체제 전체를 표현하는데 Linux는 엄밀히 말하면 일종의 Kernerl이다.
배포 판(CentOS, Fedora 등)은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도구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Kernel 이에 구축 된 완전한 기능의 시스템을 말 하는 것이다.
Kernel의 옵션
지금 커널의 버전정보를 알 수있다.
https://www.kernel.org로 들어가면 배포된 최신버전을 다운받을 수 있다.
지금 버전이 낮은 버전이라고 높은 버전을 다운받아서 쓰게되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
Kernerl 설치전에 vmwawr를 shutdown해주고 왼쪽에 하드디스크모양을 눌러서 새로운 HDD 30GB를 추가 해준다.
kernerl Update하는 법
# cd /usr/src를 해서 src로 들어간다
# wget https://cdn.kernel.org/pub/linux/kernel/v4.x/linux-4.11.7.tar.gz 다운받아준다.
처럼 쳐서 확인해준다.
사진에 나온 명령어로 자동 설치해준다.
버전은 사진에서 나온거랑 다르기 때문에 tab눌러서 현재의 버전으로 다운받아줌 뒤에 ./.config 확인
make menuconfig를 치면 이런 창이 나오게 된다. 아래에 빨간글씨가 나온대로 따라가주고
spacebar로 enable sysfs를 체크해주고 저장해주고 나간다.
그리고 make all을 치게되면 최소 30분에 걸쳐 다운을 하게된다.
명령어를 입력하고 설치를 다시 기다린다. 설치가 다 된다면 make install로 추가로 설치해준다.
커널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컴파일 된 커널과 관련 된 모듈을 추가로 설치하는 것
명령어를 입력해주고 버전이 잘 나오는지 확인해준다.
문서 편집기에 들어가서 GRUB_DEFAULT=0으로 바꿔주고 저장하고 나온다.
명령어를 입력하면 무언가 뜨게되는데 done이 뜨면 성공한 것
reboot 명령어를 입력후 다시 들어와서 uname -sr을 쳐서 버전을 확인해준다.
설치가 완료 된 후 용량을 차지하는 소스파일은 System에서 삭제를 해 준다.
Kernerl remove
# vi /etc/default/grub을 쳐서 문서 편집기로 들어와준다.
GRUB_DEFAULT부분을 saved로 바꿔준다.
1. 기존 Kernerl을 선택 후 System Booting
2. Default Kernel 설정을 기존 Kernerl로 변경 해준 것
새로 설치 된 커널이 시스템 하드웨어와 호환이 되지 않거나 문제가 있을경우 반드시 기존 커널로 변경한다.
Kerner Default 값 변경을 적용시킨 것
아래에 done이 뜬다면 성공한 것이다.
새로 추가한 Kernerl의 버전을 갖는 Module Directory 삭제
boot 디렉터리로 이동하여 새로 추가한 Kernerl의 버전을 갖는 File 삭제
Kernerl 변경사항 적용
Menuentry에서 새로 추가 한 Kernerl이 사라졌는지 확인
System 재 부팅 후 Kernerl 목록이 사라졌는지 확인한다.
'학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06/13 ShellScript (0) | 2023.06.13 |
---|---|
2023/06/12 프로세스 관리 명령어 (0) | 2023.06.12 |
2023/06/08 패키지 (0) | 2023.06.08 |
2023/06/07 소유권과 허가권 (0) | 2023.06.08 |
2023/06/02 사용자 계정, 그룹 관리 (0) | 2023.06.02 |